주요글: 도커 시작하기
반응형

회원 정보 목록 화면과 회원 정보 상세 화면을 반복해서 왔다 갔다 하는 직원이 있다고 하자. 또, 특정 조건으로 회원 목록을 검색해서 1페이지, 2페이지, 3페이지 등 페이지 이동을 하는 직원이 있다고 하자. 이 두 경우 회원 정보를 지속적으로 조회하는 것으로서, 회원 정보를 몰래 수집하는 이상 행동으로 의심해 볼 수 있다. 이런 이상 행동에는 일정 패턴이 반복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상황을 발견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EPL 패턴이다.


관련 글:

EPL 패턴


EPL은 발생하는 이벤트들이 특정 패턴에 매칭되는지 찾아준다. 다음은 매우 간단한 EPL 패턴의 사용 예다.


EPStatement eps = epService.getEPAdministrator().createEPL(

        "select l from pattern[every l=List ]"

);

eps.addListener(new UpdateListener() {

    @Override

    public void update(EventBean[] newEvents, EventBean[] oldEvents) {

        MemberList l = (MemberList)newEvents[0].get("l"));

        ...

    }

});


위 코드에서 from 절 뒤에 "pattern [ 패턴 ]" 형식으로 패턴을 지정하고 있다. 위 패턴은 매우 단순한 패턴으로, 모든 List 이벤트에 대해 매칭되는 패턴이다. 위 EPL을 실행하면 List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UpdateListener가 실행된다.


위 패턴은 "select l from List l" EPL과 동일한 결과를 발생시키는데, 실제 위와 같이 단순한 패턴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EPL은 다양한 패턴 연산자와 구성 요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들을 조합해서 흥미로운 패턴을 만들어낼 수 있다.


패턴의 구성 Atom과 연산자


패턴을 구성하는 주요 Atom(EPL 레퍼런스 문서를 보면 Atom이라고 부름)에는 다음의 두 가지가 있다.


패턴 Atom 

이벤트 필터 Atom

이벤트: List

조건에 맞는 이벤트: List(userId = 'madvirus')

시간 기반 Atom

타이머: timer:interval(10 sec)

스케줄: timer:at(*, 6, *, *, *)


Atom에 대한 연산자는 다음의 4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종류

연산자

반복을 제어하는 연산자

every, [num], until 등

논리 연산자

and, or, not

이벤트의 발생 순서

 ->

표현식 유효 조건

where timer:within, where timer:withinmax, while 등 


연산자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조건 접미사: where timer:within, where timer:withinmax, while
  2. 단항 연산자: every, not, every distinct
  3. 반복: [num], until
  4. and
  5. or
  6. 순서: ->

연산자 우선순위를 이해하지 않으면 패턴을 다른 의미로 읽거나 작성하게 되므로, 우선순위에 유의해서 패턴을 작성해야 한다.


이벤트 필터


다음 EPL을 보자.


select L from pattern [L=List]


위 EPL에서는 List는 이벤트를 위한 Atom 이다. 패턴에 명시한 이벤트를 참조하려면 '태그이름=이벤트Atom'의 형식으로 태그를 사용해야 한다. 위 코드에서는 'L'이 태그가 된다.


위 EPL을 실행하면 최초에 발생한 List 이벤트만 패칭되며, 이후 발생하는 List 이벤트에 대해서는 매칭되지 않는다. 따라서, List 타입 이벤트가 L1, L2, L3의 순서로 발생하면 L1 이벤트에 대해서만 UpdateListener를 통해 통지 받을 수 있다.


모든 List 이벤트에 대해 매칭되려면 every 연산자를 사용해야 한다.


select L from pattern [every L=List]


위 EPL은 모든 List 이벤트에 매칭된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를 걸러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필터 구문을 사용하면 된다.


select L from pattern [every L=List(uri='/member/list', userId='bkchoi')]


"->"를 이용한 발생 순서 매칭


-> 연산자는 매우 유용한 연산자이다. 이벤트의 발생 순서를 지정할 때 ->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 패턴은 List 이벤트 다음에 Detail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매칭된다.


select L, D from pattern [L=List -> D=Detail]


다음은 이벤트 순서와 위 패턴에 매칭되어 선택된 결과를 표시한 것이다.

  • L1, L2, D1, D2, L3, D3 : (L1, D1)

위 결과를 보면 첫 번째로 패턴에 매칭된 이벤트 집합(L1, D1)만 선택된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이벤트 List 이벤트에 대해 매칭되도록 하려면 every 연산자를 사용하면 된다.


select L, D from pattern [every L=List -> D=Detail]


위 패턴은 모든 List 이벤트에 대해 뒤에 Detail이 오면 매칭된다. every 연산자가 -> 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위 패턴은 [(every L=List) -> D=Detail]과 같다. 다음은 이벤트 흐름에 대해 매칭되어 선택되는 이벤트 집합을 표시한 것이다.

  • L1, L2, D1, D2, L3, D3 : (L1, D1), (L2, D1), (L3, D3)

위 매칭 결과를 보면 (L1, D1)과 (L2, D1)이 선택된 것을 알 수 있다. L1과 L2에 대해 D1이 모두 매칭됐는데, 겹치는 경우 매칭되지 않도록 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SuppressOverlappingMatches 패턴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


select L, D from pattern @SuppressOverlappingMatches [every L=List -> D=Detail]


위 패턴을 사용하면 이벤트 발생 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이 (L1, D1)만 선택되고, (L1, D1)과 겹쳐지는 (L2, D1)은 매칭되지 않는다.

  • L1, L2, D1, D2, L3, D3 : (L1, D1), (L3, D3)

-> 연산자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 연산자 앞 뒤에 지정한 이벤트가 반드시 바로 직후에 발생되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패턴과 이벤트 순서를 생각해보자.

  • 패턴: select L, D from pattern [every L=List -> D=Detail]
  • 이벤트: L1, V1, D1, D2, L3, D3
이 경우 L1과 D1 사이에 다른 타입의 이벤트 V1이 발생했지만, L1 이벤트 이후에 D1 이벤트가 발생했으므로 (L1, D1) 이벤트 쌍이 매칭되어 선택된다. 즉, '->' 연산자는 바로 뒤에의 의미가 아니라 '이후에'라는 의미이다.


and와 or 연산자


and는 순서에 상관없이 두 표현식이 모두 true면 매칭된다. 예를 들어, 다음 패턴은 List 이벤트와 Detail 이벤트가 도착하면 매칭된다.


select L, D from pattern [L=List and D=Detail]


순서가 상관이 없기 때문에 다음의 두 순서로 이벤트가 들어와도 매칭되서 선택되는 이벤트는 L2, D1 이다. 한 번만 선택되는 이유는 패턴에 every가 없기 때문이다.

  • L2, D1, D2, L3, D3
  • D1, L2, L3, D3
동일 패턴을 사용하면서 다음의 순서로 이벤트가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
  • L1, L2, D1, D2, L3, D3
이 경우 선택되는 이벤트 조합은 (L1, D1)이다.

아래와 같이 every를 붙이면 어덯게 될까? (every의 우선순위가 and 보다 높기 때문에 and 쪽에 괄호를 넣었다.)

select L, D from pattern [every (L=List and D=Detail)]


다음 순서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 L1, L2, D1, D2, L3, D3

매칭되는 결과 이벤트는 (L1, D1)과 (L3, D2) 이다.


or는 두 표현식 중 하나만 true면 된다. 즉, 아래 이벤트는 List 이벤트나 Detail 이벤트 중 하나만 발생해도 매칭된다. every가 붙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모든 List 이벤트와 Detail 이벤트가 매칭된다.

select L, D from pattern [every (L=List or D=Detail)]


not 연산자


not은 표현식이 false인 경우 true가 된다. 처음 Statement가 시작될 때에 "not 표현식"은 true 상태로 시작하며, 표현식이 true가 될 때 false가 된다. not은 단독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and와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발권을 하한 뒤 상영관에 입장하기 전에, 표에 있는 할인 쿠폰으로 간신을 구매하지 않은 사용자를 찾고 싶다고 해 보자. 이는 다음과 같은 패턴으로 찾아낼 수 있다.


select i from pattern [

  every i=IssuedTicket -> (Entering(ticketId = i.id) and not UseTicketCoupon(couponId = i.couponId))

]


위 패턴은 모든 영화표발권(IssuedTicket) 이벤트에 대해 이후 같은 표에 대한 입장(Entering) 이벤트가 발생하고, 그 사이에 표의 쿠폰을 사용함(UseTicketCoupon)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매칭된다. 따라서, 이 패턴으로 매칭된 IssuedTicket 이벤트를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쿠폰이 사용되지 않은 표를 구매한 고객을 찾아낸다면, 고객에게 SMS를 이용해서 쿠폰 사용을 유도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같은 건물에 있는 커피숍에 가서 500원을 할인 받으라는 등의 프로모션)


Every 연산자


every 연산자는 동작 방식을 잘 이해해서 사용해야 한다. every 연산자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패턴 매칭 결과가 달라지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레퍼런스 문서에 잘 나와 있다. 그래서 레퍼런스 문서에 있는 내용을 발췌해서 아래 표로 정리해 본다.


* 이벤트가 A1, B1, C1, B2, A2, D1, A3, B3, E1, A4, F1, B4 순서로 발생했다고 가정

every 사용 예

설명

매칭 결과 

every (A -> B)

A 이벤트 발생 후, B 이벤트가 발생하면 매칭된다. 매칭된 후 새로운 매처(매칭 검사기)를 시작한다. A가 매칭된 후, 다음 B가 나올 때 까지 새로운 매처가 시작되지 않는다. 즉, A 이벤트 이후에 B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의 다른 A 이벤트는 매칭 대상에서 제외된다.

(A1, B1), (A2, B3),

(A4, B4)

every A -> B

(every A) -> B

모든 A에 대해, A 이벤트 발생 후 B 이벤트가 발생하면 매칭된다.

(A1, B1), (A2, B3),

(A3, B3), (A4, B4) 

A -> every B 

A -> (every B)

패턴 Statement가 시작된 뒤, 첫 번째 A 이벤트에 대해 모든 B가 매칭된다.

(A1, B1), (A1, B2),

(A1, B3), (A1, B4) 

(every A) -> (every B)

모든 A 이벤트에 대해, A 이벤트 발생 후 모든 B 이벤트에 매칭된다.

(A1, B1), (A1, B2),
(A1, B3), (A1, B4)
(A2, B3), (A2, B4)
(A3, B3), (A3, B4)
(A4, B4) 


반복 연산자


특정 표현식이 지정한 횟수만큼 반복되면 매칭되도록 하고 싶다면 반복 연산자를 사용하면 된다. 반복 연산자는 '[횟수]' 형식으로 사용한다. 아래 코드는 예이다.


EPStatement eps = epService.getEPAdministrator().createEPL(

        "select s from pattern [every [2] s=SlowResponse ]"

);


eps.addListener(new UpdateListener() {

    @Override

    public void update(EventBean[] newEvents, EventBean[] oldEvents) {

        for (EventBean eb : newEvents) {

            // 길이가 2인 배열

            SlowResponse[] responses = (SlowResponse[]) eb.get("s");

            ...

        }

    }

});


위 패턴을 사용하면 SlowResponse 이벤트가 2번 발생할 때 마다 매칭된다. 매칭 결과를 받는 리스너의 코드를 보면 "s"에 보관된 값이 SlowResponse 배열임을 알 수 있다.


반복 연산자와 not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패턴을 만들 수도 있다.


select s, o from pattern [

     every [3] ( (s=SlowResponse or o=OvertimeResponse) and not NormalResponse)"

]


위 패턴은 SlowResponse나 OvertimeResponse가 3회 발생하고, 그 사이에 NormalResponse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매칭된다. 즉, 느린 응답이 연속해서 3회 발생하는 상황을 찾아내주는 패턴이다.


반복 연산자와 until


until 연산자는 until 뒤의 표현식이 충족될 때 매칭된다. 아래 패턴은 NormalResponse가 발생하기 전까지 SlowResponse 이벤트를 반복한다.


select s from pattern [ every (s=SlowResponse until NormalResponse) ]


NormalResponse 이벤트 발생 전에 SlowResponse 이벤트가 5번 발생하면 s는 SlowReponse 객체 5개를 갖는 배열이 할당된다.


범위를 갖는 반복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갖는다.

  • [3:8] - 최소 3번에서 최대 8번까지 반복
  • [3:] - 최소 3번 반복
  • [:8] - 최대 8번 반복
until과 범위를 갖는 반복 연산자를 함께 사용해도 된다. 다음은 예이다.


* S1 S2 N1 S3 S4 S5 N2 순서로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가정 (S:Slow, N:Normal)

 패턴 예

 결과

 every ([2:] s=SlowResponse until NormalResponse)

(S1, S2) *N1 발생 시점에 생성

(S3, S4, S5) *N2 발생 시점에 생성 

 every ([:3] s=SlowResponse until NormalResponse)

(S1, S2) *N1 발생 시점에 생성 

(S3, S4, S5) *N2 발생 시점에 생성

 every ([:2] s=SlowResponse until NormalResponse)

(S1, S2) *N1 발생 시점에 생성

(S3, S4) *N2 발생 시점에 생성

 every ([3:] s=SlowResponse until NormalResponse)

(S3, S4, S5) *N2 발생 시점에 생성


타이머 패턴 가드


where timer:within 가드는 표현식 뒤에 위치하며, 일정 시간 안에 표현식이 true가 되면 매칭되고 지정한 시간이 지나면 매칭되지 않는다. 다음은 타이머 가드의 사용 예이다.


select s from pattern [s=SlowResponse where timer:within(2 sec)]


위 패턴은 최초 2초 안에 SlowResponse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최초 2초 안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SlowResponse 이벤트가 선택되고 타이머가 종료된다. 2초가 지나면 타이머가 종료되고 더 이상 패턴은 사용되지 않는다.


최근 2초간 발생한 SlowResponse 이벤트를 구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every 연산자를 함께 사용한다. 아래 패턴을 실행하면 2초 안에 SlowResponse가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select 결과를 받게 된다.


select s from pattern [(every s=SlowResponse) where timer:within(2 sec)]


아래 코드는 어떤 의미일까?


select s from pattern [every ((s=SlowResponse -> SlowResponse) where timer:within(2 sec))]


위 코드는 최초 시작시 타이머가 시작되어 (SlowResponse -> SlowResponse)가 2초 이내에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타이머가 종료되면 every 연산자에 의해 새로운 타이머가 시작된다. 위 패턴을 사용했을 때 이벤트 발생 시점과 select 결과는 아래 그림과 같이 이뤄진다. 아래 그림에서 화살표는 타이머의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



위 그림과 동일한 시점에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아래 코드는 어떤 결과를 만들까?


select s from pattern [every s=SlowResponse -> SlowResponse where timer:within(2 sec)]

// 우선순위에 따라 evern s=SlowResponse -> (SlowResponse where timer:within(2 sec)) 와 동일


이 패턴은 모든 SlowResponse 이벤트가 발생한 후 2초 이내에 SlowResponse 이벤트가 발생하면 매칭된다.


아래 패턴은 어떨까?


select s from pattern [every s=SlowResponse -> (not NormalResponse where timer:within(2 sec)) ]


얼핏 생각하면 SlowResponse 이벤트 발생 후 2초 이내에 NormalResponse가 발생하지 않으면 매칭될 것 같지만, 실제로는 SlowResponse 이벤트가 발생하는 순간에 바로 매칭된다. 실제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고 나서 일정 시간 안에 다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패턴을 만들고 싶다면 다음에 설명할 time:interval Atom을 사용해야 한다.


시간 Atom


패턴의 Atom은 이벤트 필터 외에 시간 간격 Atom인 timer:interval 을 제공하고 있다. 다음은 time:interval을 사용한 패턴 예이다.

select o from pattern [
    every o=OrderForm -> timer:interval(10 min) and not OrderComplete(id=o.id)
]

위 코드는 OrderForm 이벤트가 발생한 후, 같은 id를 갖는 OrderComplete 이벤트가 10분 안에 발생하지 않으면 매칭된다. 즉, 주문 양식까지 들어왔는데 10분 동안 결제를 하지 않은 경우를 찾아내는 패턴이다.


+ Recent posts